김연수 (작가)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김연수는 1970년 김천 출생으로, 성균관대학교 영어영문학과를 졸업한 소설가이다. 1993년 시인으로 등단하여, 1994년 장편소설 《가면을 가리키며 걷기》로 작가세계문학상을 수상하며 소설가로 활동을 시작했다. 《꾿빠이, 이상》으로 동서문학상, 《내가 아직 아이였을 때》로 동인문학상, 《나는 유령작가입니다》로 대산문학상, 《달로 간 코미디언》으로 황순원문학상, 《산책하는 이들의 다섯가지 즐거움》으로 이상문학상을 수상했다. 또한 대중음악 평론가 및 저널리스트로 활동했으며, 영화 《잘 알지도 못하면서》에 출연하기도 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황순원문학상 수상자 - 김훈 (소설가)
김훈은 대한민국의 소설가이자 언론인으로, 1994년 등단 후 역사적 사건을 배경으로 한 소설들을 발표하며 문명을 얻었고, 간결하고 힘 있는 문체와 인물 내면 묘사가 특징이며, 여러 문학상을 수상했고, 언론인으로 활동하다가 전업 작가가 되었다. - 황순원문학상 수상자 - 박완서
박완서는 한국 전쟁의 비극, 분단 현실, 소시민적 삶, 물질만능주의 비판, 여성 문제 등을 주제로 다양한 작품을 발표하고 여러 문학상을 수상한 대한민국의 소설가이다. - 동인문학상 수상자 - 김훈 (소설가)
김훈은 대한민국의 소설가이자 언론인으로, 1994년 등단 후 역사적 사건을 배경으로 한 소설들을 발표하며 문명을 얻었고, 간결하고 힘 있는 문체와 인물 내면 묘사가 특징이며, 여러 문학상을 수상했고, 언론인으로 활동하다가 전업 작가가 되었다. - 동인문학상 수상자 - 성석제
성석제는 해학과 풍자를 통해 인간과 사회의 부조리를 그려내는 대한민국의 소설가이자 시인으로, 유머와 비애를 조화시키는 능력이 뛰어나다는 평가를 받으며 다양한 문학상을 수상했다. - 대산문학상 수상자 - 김지하
김지하는 대한민국의 시인이자 사회운동가로, 1970년 부패 권력 비판으로 필화 사건을 겪고, 1974년 민청학련 사건에 연루되어 사형을 선고받았다가 석방 후 생명 운동을 전개했으며, 1991년에는 분신 정국을 비판하여 변절 논란에 휩싸였다. - 대산문학상 수상자 - 고은
고은은 1958년 등단하여 《만인보》를 포함한 다수의 작품을 발표하고 민주화 운동과 남북한 작가 교류에 기여했으나, 2018년 성추문 논란으로 재평가 논의가 이루어지고 있는 한국의 시인이자 소설가, 수필가, 사회 운동가이다.
김연수 (작가)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출생일 | 1970년 |
출생지 | 대한민국 경상북도 김천 |
직업 | 소설가, 시인, 번역가 |
국적 | 대한민국 |
활동 기간 | 1993년 ~ 현재 |
언어 | 한국어, 영어, 프랑스어 |
학력 | 성균관대학교 영어영문학과 학사 |
작품 활동 | |
데뷔 작품 | 강화에 대하여 |
주요 작품 | 꾿빠이 이상 나는 유령작가입니다 세계의 끝 여자친구 |
수상 내역 | |
수상 | 2001년 동서문학상 2003년 동인문학상 2005년 대산문학상 2007년 황순원문학상 2009년 이상문학상 |
웹사이트 | |
웹사이트 | 공식 웹사이트 |
블로그 | 소설가 김연수 블로그 |
이름 정보 | |
한글 | 김연수 |
한자 | 金衍洙 |
로마자 표기 | Gim Yeonsu |
문화어 표기 | Kim Yŏnsu |
본명 | 김영수 |
2. 생애
1970년 경상북도 김천에서 태어나 성균관대학교 영어영문학과를 졸업하였다. 대학교 3학년이던 1993년, 계간 《작가세계》 여름호에 시 〈강화에 대하여〉 외 4편을 발표하며 시인으로 등단하였고, 이듬해인 1994년 장편소설 《가면을 가리키며 걷기》로 제3회 작가세계문학상을 수상하며 소설가로서 작품활동을 시작했다.[3] 졸업 후 낮에는 회사원으로, 밤에는 번역가로 일했으며, 남는 시간에는 소설을 썼다. 1997년에는 여성 잡지사 기자로 일했는데, 이 경험은 그의 일상생활에 대한 어려운 시각에 중요한 영향을 미쳤다.[4]
김연수는 1993년 문예지 《작가세계》에 시를 발표하며 등단했고, 이듬해 소설 《가면을 가리키며 걷기》를 출간했다.[5] 1994년 장편소설 《가면을 가리키며 걷기》로 제3회 작가세계문학상을 수상하며 소설가로서 작품활동을 시작했다. 장편소설 《꾿빠이 이상》으로 2001년 동서문학상을, 단편소설집 《내가 아직 아이였을 때》로 2003년 동인문학상을, 단편소설집 《나는 유령작가입니다》로 2005년 대산문학상을, 단편소설 〈달로 간 코미디언〉으로 2007년 황순원문학상을, 단편소설 〈산책하는 이들의 다섯가지 즐거움〉으로 2009년 이상문학상을 받았다.[5] 그는 2000년대 이후 가장 많은 사랑을 받는 한국 작가 중 한 명이며, 한국에서 베스트셀러 작가이기도 하다.[5] 예를 들어, 2009년에 출간된 《세상의 끝 여자친구》는 출간 3개월도 안 되어 4만 부가 판매되었다.[5]
김연수 작가의 작품은 소설, 소설집, 산문집, 공저, 번역서 등 다양한 분야에 걸쳐있다.
장편소설 《꾿빠이 이상》으로 2001년 동서문학상을, 단편소설집 《내가 아직 아이였을 때》로 2003년 동인문학상을, 단편소설집 《나는 유령작가입니다》로 2005년 대산문학상을, 단편소설 〈달로 간 코미디언〉으로 2007년 황순원문학상을, 단편소설 〈산책하는 이들의 다섯가지 즐거움〉으로 2009년 이상문학상을 받았다.
대중음악 평론가 및 저널리스트로도 활동했으며, 2009년 개봉한 홍상수 감독의 영화 《잘 알지도 못하면서》에 출연한 바 있다.
3. 작가 활동 및 문학 세계
김연수의 문학 세계는 인문학 연구를 통해 형성되었으며, 그의 첫 단편집 《스무 살》에 지대한 영향을 미친 아르헨티나 작가 호르헤 루이스 보르헤스에게 많은 빚을 지고 있다.[6]
김연수는 문학 거장의 그림자에 머무르는 것에 만족하지 않았다. 그의 세 번째 소설 《꾿빠이 이상》은 인문주의적 상상력의 정점에서 걸작에 걸맞은 평단을 받았다. 보르헤스적인 영향은 여전히 분명하지만, 배경에만 머물러 있다. 소설 전체는 1930년대 한국 문학사에서 가장 이국적이고 복잡한 이야기를 쓴 한국의 실존주의 작가 이상에 대한 작가 자신의 세심하고 심도 있는 연구를 통해 생동감을 얻고 있다. 《꾿빠이 이상》은 진실과 존재의 문제, 그리고 김연수의 관점에서 상호 배타적이지 않은 문학의 정의에 대해 다루고 있다. 작가는 "내가 글을 쓰는 이유는 글쓰기 행위 안에서 진실이 정말 존재하는지 알아내기 위해서"라고 말했다.[7]
《내가 아직 아이였을 때》는 연재 형식으로 처음 발표되었으며, 그의 어린 시절과 청소년기를 바탕으로 한 단편 소설 모음집이다. 《꾿빠이 이상》보다 훨씬 가볍고 쉬운 어조로 쓰였지만, 이 모음집의 이야기들은 김연수의 관심사였던 진실의 본질을 탐구하는 또 다른 장을 제공한다.[8]
젊은 작가인 김연수의 작품들은 이제 막 번역되기 시작했다. 현재까지 영어로는 단 하나의 짧은 에세이(《뉴욕 제과점》)와 아래에 언급된 몇몇 단편 소설만 번역되었다. 그의 작품들은 일본어, 프랑스어, 러시아어로 더 많이 번역되었다. 《세상의 끝 여자친구》, 《원더보이》, 《눈먼 자들의 국가》 등 단편 소설들은 일본어로 출판되었다.[9] 《사랑이라니, 선녀령아》, 《만약 파도가 바다의 것이라면》, 《나는 유령작가입니다》는 프랑스어로 번역되었다. 《세상의 끝 여자친구》와 《원더보이》는 러시아어로, 《나는 유령작가입니다》는 독일어로, 다시 한 번 《세상의 끝 여자친구》는 중국어로 출판되었다.[10][11]
4. 수상 경력
연도 상 이름 작품 1994 작가세계문학상 《가면을 가리키며 걷다》 2001 동서문학상 《꾿빠이, 이상》 2003 동인문학상 《내가 아직 아이였을 때》 2005 대산문학상 《나는 유령작가입니다》 2007 황순원문학상 《달로 간 코미디언》 2009 이상문학상 《산책하는 이들의 다섯 가지 즐거움》
5. 작품 목록
;소설집
;산문집
제목 | 출판사 | 출판일 |
---|---|---|
《청춘의 문장들》 | 마음산책 | 2004년 5월 |
《여행할 권리》 | 창비 | 2008년 5월 |
《우리가 보낸 순간 : 소설》 | 마음산책 | 2010년 12월 |
《우리가 보낸 순간 : 시》 | 마음산책 | 2010년 12월 |
《지지 않는다는 말》 | 마음의숲 | 2012년 7월 |
《소설가의 일》 | 문학동네 | 2014년 11월 |
《언젠가, 아마도》 | 컬처그라퍼 | 2018년 7월 |
《시절일기》 | 레제 | 2019년 7월 |
;공저
- 김애란과 함께 쓴 《대책 없이 해피엔딩》 (씨네21, 2010년 6월)
- 김연수 외, 《나는 천천히 울기 시작했다》 (봄날의책, 2013년 11월)
- 김연수 외, 《한국 작가가 읽은 세계문학》 (문학동네, 2013년 12월)
- 김연수 외, 《눈먼 자들의 국가》 (문학동네, 2014년 10월)
- 김연수 외, 《우리가 참 아끼던 사람》 (달, 2016년 1월)
- 김연수, 노승영, 《이것이 나의 도끼다》 (은행나무, 2017년 4월)
- 김연수 외, 《이상문학상 대상 작가의 자전적 에세이》 (문학사상, 2019년 3월)
;번역서
- 조지 A. 시핸, 《달리기와 존재하기》 (한문화, 2003)
- 레이먼드 카버, 《대성당 (단편집)》 (문학동네, 2007)
- 하진, 《기다림 (소설)》 (시공사, 2007)
- 로알드 달, 《조지, 마법의 약을 만들다》 (시공주니어, 2000)
- 바너비 콘래드와 몬테 슐츠, 《스누피의 글쓰기 완전정복》 (한문화, 2012)
- 존 C. H. 우, 《선의 황금시대》 (한문화, 2013)
- 로렌스 예프, 《용의 날개》 (소년한길, 2016)
;수록 단편
- 《사람은 사람을 부른다》 (두란노, 2013)
- "행복해지거든"
- "나무들 사이로 바다를 보다"
- "희망봉에 서서"
- "나도 웃으니까"
- "반가워. 내가 네 아빠야!"
- "시간이 사라진다면"
- "한바탕 웃을 때마다"
- "내가 바라는 것"
- 《나는 천천히 울기 시작했다》 (봄날의책, 2013) - "내리 내리 아래로만 흐르는 물인가, 사랑은"
- 《나는 문학으로 출가했다》 (조계종출판사, 2013) - "불교란, 마음을 담아서 보는 것이다"
- 《눈먼 자들의 국가》 (문학동네, 2014) - "그러니 다시 한번 말해보시오, 테이레시아스여"
- 《실크로드, 길 위에서 길을 보다》 (휴먼앤북스, 2014) - "실크로드에 남은 문명 교류의 흔적들을 찾아서"
- 《우리가 참 아끼던 사람: 소설가 박완서 대담집》 (달, 2016) - "우리에게 다녀가는 것들을 만나고 돌아온 봄날"
- 《이것이 나의 도끼다》 (은행나무, 2017) - 김연수, 노승영, "김연수라는 퍼즐"
- 《이상문학상 대상 작가의 자전적 에세이》 (문학사상, 2019) - "이 세상 그 누구도 대신 써주지 않는 15매"
- 《한국 작가가 읽은 세계문학》 (문학동네, 2018) - "마크롤 가비에로의 모험" 평론
;해외 출간
- 《밤은 노래한다》
- * 橋本智保일본어 역, 신센샤(新泉社) 2020년
- 《원더보이》
- * 金훈아일본어 역, 쿠온 2016년
- 《파도가 바다의 일이라면》
- * 松岡雄太일본어 역, 스루가다이 출판사(駿河台出版社) 2022년
- 《나는 유령작가입니다》
- * 橋本智保일본어 역, 신천사 2020년
- 《세계의 끝 여자친구》
- * 오영아일본어 역, 퀀 2014년
- 《사월의 미, 칠월의 솔》
- * 松岡雄太일본어 역, 스루가다이 출판사 2021년
- 《뉴욕 제과점》
- * 최진석일본어 역, 퀀 2022년
5. 1. 장편 소설
- 《가면을 가리키며 걷기》 (세계사, 1994)
- 《7번국도》 (문학동네, 1997)
- 《꾿빠이 이상》 (문학동네, 2001)
- 《사랑이라니, 선영아》 (작가정신, 2003)
- 《네가 누구든 얼마나 외롭든》 (문학동네, 2007)
- 《밤은 노래한다》 (문학과 지성사, 2008)
- 《7번국도 REVISITED》 (문학동네, 2010)
- 《원더보이》 (문학동네, 2012)
- 《파도가 바다의 일이라면》 (자음과모음, 2012)
- 《일곱 해의 마지막》 (문학동네, 2020)
김연수는 1994년 첫 소설 《가면을 가리키며 걷기》를 출간했다.[5] 그의 세 번째 소설 《꾿빠이 이상》은 1930년대 한국 문학사에서 가장 이국적이고 복잡한 이야기를 쓴 한국의 실존주의 작가 이상에 대한 작가 자신의 세심하고 심도 있는 연구를 통해 생동감을 얻고 있다는 평가를 받았다.[7]
5. 2. 소설집
- 《스무 살》 (문학동네, 2000)
- 《내가 아직 아이였을 때》 (문학동네, 2002)
- 《나는 유령작가입니다》 (창비, 2005)
- 《세계의 끝 여자친구》 (문학동네, 2009)
- 《사월의 미, 칠월의 솔》 (문학동네, 2013)
- 《이토록 평범한 미래》 (문학동네, 2022)
- 《너무나 많은 여름이》 (레제, 2023)
5. 3. 산문집
제목 | 출판사 | 출판일 | ISBN |
---|---|---|---|
《청춘의 문장들》 | 마음산책 | 2004년 5월 | |
《여행할 권리》 | 창비 | 2008년 5월 | |
《우리가 보낸 순간 : 소설》 | 마음산책 | 2010년 12월 | |
《우리가 보낸 순간 : 시》 | 마음산책 | 2010년 12월 | |
《지지 않는다는 말》 | 마음의숲 | 2012년 7월 | |
《소설가의 일》 | 문학동네 | 2014년 11월 | |
《언젠가, 아마도》 | 컬처그라퍼 | 2018년 7월 | |
《시절일기》 | 레제 | 2019년 7월 |
5. 4. 공저
- 金衍洙|김연수중국어, Kim Ae-ran|김애란영어, 《대책 없이 해피엔딩》 (씨네21, 2010년 6월)
- 김연수 외, 《나는 천천히 울기 시작했다》 (봄날의책, 2013년 11월)
- 김연수 외, 《한국 작가가 읽은 세계문학》 (문학동네, 2013년 12월)
- 김연수 외, 《눈먼 자들의 국가》 (문학동네, 2014년 10월)
- 김연수 외, 《우리가 참 아끼던 사람》 (달, 2016년 1월)
- 김연수, 노승영, 《이것이 나의 도끼다》 (은행나무, 2017년 4월)
- 김연수 외, 《이상문학상 대상 작가의 자전적 에세이》 (문학사상, 2019년 3월)
5. 5. 번역서
6. 번역 작품
김연수는 소설 작품 외에도 번역 작품 활동도 했다. 다음은 김연수가 번역한 작품 목록이다.
김연수의 작품들은 영어로는 단편 몇 개만 번역되었지만, 일본어, 프랑스어, 러시아어 등 다양한 언어로 번역되었다.[9] 사랑이라니, 선녀령아, 만약 파도가 바다의 것이라면, 나는 유령 작가다는 프랑스어로 번역되었다.[10] 세상의 끝 여자친구, 원더보이는 러시아어로, 나는 유령 작가다는 독일어로, 세상의 끝 여자친구는 중국어로 출판되었다.[10][11]
6. 1. 영어
6. 2. 일본어
김연수의 작품들은 여러 언어로 번역되었는데, 특히 일본어로 번역된 작품이 많다. 세상의 끝 여자친구, 원더보이, 눈먼 자들의 국가 등의 단편 소설들이 일본어로 출판되었다.[9]다음은 일본어로 번역, 출간된 김연수 작가의 작품 목록이다.
제목 | 번역자 | 출판사 | 비고 |
---|---|---|---|
세상의 끝, 그녀 | 오영아 | 퀀 | 새로운 한국 문학 시리즈, 2014년 |
원더보이 | 김언 | 퀀 | 새로운 한국 문학 시리즈, 2016년 |
나는 유령 작가입니다 | 하시모토 토모야스 | 신천사 | 한국 문학 셀렉션 시리즈, 2020년 |
밤은 노래한다 | 하시모토 토모야스 | 신천사 | 한국 문학 셀렉션 시리즈, 2020년 |
4월의 미, 7월의 소 | 마츠오카 유타 | 스루가다이 출판사 | 2021년 |
뉴욕제과점 | 최진석 | 퀀 | 한국 문학 쇼트 쇼트 시리즈, 2022년 |
파도가 바다의 운명이라면 | 마츠오카 유타 | 스루가다이 출판사 | 2022년 |
7년의 마지막 | 하시모토 토모야스 | 신천사 | 한국 문학 셀렉션 시리즈, 2023년 |
참조
[1]
웹사이트
Korean Literature Authors Name Authority Database - LTI Korea Library - LibGuides at Literature Translation Institute of Korea
http://klti.libguide[...]
2015-01-13
[2]
웹사이트
김연수 LTI Korea Datasheet
http://klti.or.kr/ke[...]
2013-09-21
[3]
뉴스
Kim Yeon-su, A Novelist Who Aspires to Do Something New
http://www.korea.net[...]
Korea Net
2012-05-03
[4]
간행물
The Indefinable Boundary of Fact and Fiction
LIST Magazine
2010
[5]
간행물
The Indefinable Boundary of Fact and Fiction
LIST Magazine
2010
[6]
웹사이트
김연수 LTI Korea Datasheet
https://library.ltik[...]
[7]
웹사이트
김연수 LTI Korea Datasheet
http://klti.or.kr/ke[...]
2013-09-21
[8]
웹사이트
김연수 LTI Korea Datasheet
http://klti.or.kr/ke[...]
2013-09-21
[9]
웹사이트
https://www.amazon.c[...]
[10]
웹사이트
Kim Yeonsu
https://library.ltik[...]
[11]
뉴스
In Loneliness Begin Responsibilities: World’s End Girlfriend by Kim Yeonsu.
http://www.kln.or.kr[...]
Korean Literature Now
2019-09-04
[12]
웹사이트
韓国文学翻訳院文人DB「金衍洙」 (한국문학번역원 문인DB 김연수)
http://klti.or.kr/ku[...]
[13]
뉴스
읽GO 듣GO 달린다
http://www.thesingle[...]
싱글즈
2016-02-27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